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의 김치가 세계에 알려지고 비보이 선수들이 세계를 진출하며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있는 나라입니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우리나라에 관심을 어느정도 갖고 있을까요? 그리고 우리의 음악에 대해 생각이나 해보았을까요?
여기 호주의 천재 뮤지션 사이번 바커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무형문화재 82호이자 무속인의 삶을 살았던 김석출 선생님의 별신굿이 실린 음악을 들으면서 한국 전통음악에 관심을 갖은 이 드러머가 한 일은 7년 동안 무려 11번 한국을 방문하는 일이었습니다. 오직 이 음악의 주인공인 김석출 선생님을 찾기 위해였습니다.
왜 그는 이런 무모한 짓을 하였을까요? 다큐 '땡큐, 마스터 킴'입니다.
사이먼 바커...
그는 호주에서 플 그래보스키 , 엘비스 코스텔로 , 쉘라 조단, 빈스 존슨즈 등의 당대 최고의 뮤지션과 가수들과 협연을 한 드러머입니다.
어느 날 한국의 한 무속인의 음악을 듣게 되었습니다.
비트도 불완전함에도 하나의 규칙을 가지고 있는 이 음악, 별신굿...
그를 사로잡은 이유였습니다.
무작정 한국을 왔고 이 음악의 주인공인 무형문화재 82 호인 김석출 선생님을 찾아나서게 됩니다. 그러나 한국에 아는 사람 하나 없는 상황에서 그를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죠. 그러던 와중에 전통음악을 연구하는 김동원 교수를 찾아가게 됩니다.
김 교수는 난감해하고 처음에는 그를 받아드리려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이먼의 진심을 알게된 김동원 교수는 김석출 선생님을 찾아나서는데 적극 도와주기로 합니다.
그 와중에 전통적인 방법으로 소리를 하는 판소리 명창 배일동 선생을 만나고 많은 우리 전통음악을 하는 소리꾼과 무속인들을 만나게 됩니다.
많은 소리꾼과 전통음악을 하는 분들을 만나면서 한국음악과 외국음악의 융합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무속인들을 만나서 그들이 굿을 할 때 쓰는 음악들이 보통 음악이 아님을 발견하게 됩니다.
한국의 전통음악이 기(氣)와 관련이 있음을 알게되고 양기와 음기가 만나 하나의 멋진 음악을 만들어냄을 알게 되지요. 하지만 여전히 김석출 선생님을 찾아나서는 길은 쉽지 않습니다.
위독하시다는 이야기까지 나돌았으니깐요.
과연 사이먼은 그렇게 바라던 김석출 선생님을 뵐 수 있을까요?
누군가가 사이먼의 이 행동을 보고나면 미친 것이 아닌가 물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 다큐를 보시고 나면 그런 질문이 일단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오히려 사이먼 바커에게 우리가 고마워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시게 될 것입니다.
한국 뮤지션을 찾기 위한 무모하지만 길고 긴 여정의 끝...
이 다큐가 제작된데에는 많은 고민들이 엿보입니다.
실제 이 영화의 감독인 엠마 프란츠 역시 재즈 뮤지션으로 세계를 돌면서 음악활동을 했으며 그 중에 사이먼 바커를 만났고 그의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김석출 선생님 찾기에 같이 동참하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배일동 선생님을 비롯한 다양한 음악가들을 만나 한국의 전통음악에 대해 알게 되고 실제 크로스 오버 협주를 하면서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만남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이 시도가 늘 유쾌했던 것은 아닙니다. 김동원 교수에게 자신의 의지와 생각을 담은 크로스오버 음악을 발표한 CD를 주었지만 바로 퇴짜를 맞았기 때문이죠. 그러나 이런 것에도 불구하고 사이먼 바커는 더 노력하여 한국인과 외국인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을 만들어내는데 연구합니다.
9월 1일... 바로 뒤의 개봉일 앞두고 전야 상영이 있었고 이 영화의 감독인 엠마 프란츠와 사이먼 바커, 그리고 김동원 교수가 관객과의 대화를 벌인적이 있었습니다. 저도 이 뜻깊은 행사에 동참했고 영화 상영이 끝나고 얼떨결에 뒷풀이에 참석하는 영광을 얻었죠.
김동원 교수의 이야기에도 앞에도 말씀드렸지만 진심이 없었다면 그를 돕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이먼 바커의 경우에도 뒷풀이 자리에서 한국 뮤지션들을 혹시 알고 있느냐는 질문을 드렸을 때 많은 분들의 이름을 나열하시는 것을 보고 전통음악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악을 들어보시고 계시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질문중에는 날카로운 질문도 많았지만 한국음악과 아프리카 전통음악이랑 뭐가 다른 느낌을 받았느냐는 이야기도 있었죠. 그들은 아프리카 전통음악에서 느낄 수 없는 고유의 특색이 한국음악이 분명 있는 것 같다는 답변을 주었습니다.
그렇다면 김석출 선생님을 만났느냐가 궁금하실 껍니다.
스포일러가 될지도 모르지만 사이먼은 김석출 선생님을 만났습니다.
사실 김석출 선생님이 활동을 자제한 이유는 그가 건강이 좋지 않아서였지만 자신의 누님이 세상을 뜨면서 그것의 아픔때문에 병세가 악화되셨다고 합니다.
부산에서 굿판이 있었고 그 굿판은 김석출 선생님의 회복을 기원하는 의미이자 먼저 떠나간 누님이 편안한 세상으로 가도록 기원하는 굿의 의미도 있었죠. 거기서 사이먼과 김동원 교수는 김석출 선생님을 만나는데 성공하고 김석출 선생님도 서양에서 온 낮선 남자의 방문을 적극 환영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3 일후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그리고 그 곳에서도 굿판이 벌어집니다.
그러나 그 앞의 굿판과는 다르게 떠나가는 영혼(김석출 선생님)을 기리기 위한 굿판의 의미도 있었지만 춤추고 노래하면서 오히려 유쾌하게 그의 마지막을 기리는 장면이 인상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어쩌면 페닉의 '그 어릿광대의 세 아들들에 대하여'라는 노래말처럼 오히려 광대들이 아버지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이 아니라 웃으면서 아버지의 마지막 길을 보내주는 요즘 말로 '쿨하게' 보내주는 하나의 의식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속에 슬픔과 웃음이 모두 버무려지는 것이겠지요.
이 영화에 대한 반응은 남달랐습니다.
앞써 말한 씨너스 이수에서 열린 전야 상영에서도 관객들이 한 결같이 사이먼에게 고맙다고 이야기 했고 뒷풀이 상황을 트위터로 제가 중계하자 여러분들이 역시나 사이먼에게 오히려 우리가 고맙다는 맨션을 날려주셨으니깐요.
전세계 중에서 한국에 먼저 최초 상영을 하며 판권을 가지고 있는 NHK 측에 한국은 제외시켜달라고 하여 국내에서는 스튜디오 느림보와 인디 플러그를 통해 개봉되는 아주 귀한 영화입니다. 왜 귀하고 귀한지는 이 작품을 보고 직접 느껴보셨으면 합니다.
고맙습니다, 김석출 선생님... 땡큐, 사이먼 바커... 땡큐, 엠마 프란츠....
(좌측부터) 김동원 교수, 통역을 맡아주신 분, 엠마 프란츠 감독, 사이먼 바커, 사회를 맡으신 이 영화의 배급을 담당한 인디 플러그 담당자 분 순으로...